반응형



Transasction 레벨별 MIRO 기능별 상세


1) invoice (송장) : 벤더에게 돈을 줄 경우(일반적)




2) credit memo(대변메모) : IV처리시에 벤더로부터 돈을 깔 경우(주의 : 수량과 금액 모두를 까는 것임)


3) subsequent debit (차후차변) : IV처리한 이후에 특정 자재값이 올라서 추가로 벤더에게 돈을 줄 경우에 사용


4) subsequent credit (차후대변) : IV처리한 이후에 특정 자재값이 내려서 추가로 벤더로부터 돈을 깔 경우에 사용
    

    (주의 : 추가로 금액만 까는 것임)



필드별 의미


1) Invoice date : 벤더에서 가져온 실제 문서 날짜(document date를 말함)


2) Posting date : 담당자가 실제 IV에 대한 처리날짜(회계문서가 반영되는 날짜를 말함)


3) Reference : 벤더의 invoice 번호를 입력함 


 

    -->  벤더가 작성한 세금계산서와 자사에서 처리할 세금계산서의 금액이 다를 경우 확인과정에서 필요


           벤더와 자사간에 의사소통할 수 있는 번호를 말함


구매오더생성:

à PO 생성 후 Condition 에 관세 와 통관비 항목이 각각 13% , 4%만큼으로 자동추가 됨

주의사항: 거래가 (입고나 송장검증) 발생한 후 에는 조건을 수정할 수 없게 된다.

추가나 삭제 기능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으므로, 외자 구매오더 등록 시 관세, 통관비를 반드시 등록해 주도록 한다.

 

POà통관비,관세 IV à GR 시 PO History 변화

: 입고금액의 관세,통관비 Condition 비율만큼 입고금액에서 자동으로 운송비용항목으로 금액이 빠짐

 

POà GR à 통관비,관세 IV 시 PO History 변화

: 통관비,관세 IV 한 실제금액만큼 GR 시 운송비용항목으로 동일하게 빠짐

 

모든 전표처리(송장처리)가 완료되고 입고처리를 해야지만 수입관련 발생된 비용이 시스템에 의해

모두 원가로 반영될 수 있게 재고화 될 수 있다.

 

물대송장처리 :

à 해외물대에 대한 송장처리 시 송장으로 선택à송장처리일입력à구매오더입력à상품/서비스 품목으로 선택

à수량,금액입력à세금계산체크지시자 체크 후 전기 하면 된다.

 

à GR 후 운송비용 금액으로 관세와 통관비 Condition 비율만큼 입고금액중 일부금액이 자동으로 기표 처리 됨

관세 (계획운송비용) 송장처리시 원화거래처(KRW)로 변경 후 처리 방법

기본데이타) 송장처리일 입력à금액옆의 단위를KRW 로 입력à구매오더번호 입력

세부사항) 송장발행처를 원화(KRW) 거래처로 변경

관세,통관비 IV 처리 :

운송비용 물류송장으로 처리 된다.

주의사항: 구매오더에서 관세,통관비로 입력된 가격조건은 모두 [계획운송비용]으로 처리가 된다.

관세,통관비 IV 추가 처리: 추가처리 한 관세,통관비는 차후차변 운송비용으로 처리 한다.

즉 비용에 대해서는 MIRO 에서 최초 송장으로 처리 하고 이것은 운송비용 물류송장 항목으로 처리 되고

이후에 처리 되는 비용은 차후차변으로 처리 된다 이것은 차후차변 운송비용으로 처리 된다.

트랜잭션 '차후차변'은 트랜잭션 '송장'에 대해 추가로 처리할 때 사용한다

대변메모에 대한 추가 처리는 '차후대변'이다

차후차변'은 송장 처리가 안된 상태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시스템이 불허함)

반응형
Posted by Bri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