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할인점의 임대방식은 백화점의 임대방식과 같다. 직매입, 특정매입, 임대 갑, 임대 을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할인점은 백과점과 같이 운영주체, 운영방식, 임차료 산출방식 등에 따라 직영매장, 특정매입매장, 임대갑매장, 임대을매장 등 크게 4가지로 구분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테넌트 샾이라는 형태의 새로운 임대방식이 나타나고 있다.
우선 특정매입과 직매입의 가장 큰 차이는 물건의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느냐 하는 것이다. 특정 매입은 유통업체 매장의 일부분을 판매자에게 빌려주어 판매금의 일부분을 유통회사에서 가져가는 것이다. 이 때 상품의 관리와 소유권은 판매업자에게 있고 유통업자에게는 없다. 직매입은 유통회사가 상품의 납품업자에서 산후에 이를 다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것으로서, 상품의 소유권은 유통회사에 있는 것이다. 즉 직매입은 유통회사가 다른 공급업자한테 물건을 사고 유통회사가 직접 장사를 하는 것이고, 특정매입은 유통회사가 장사할 자리를 빌려준 후에 판매된 금액의 일부분만 받는 것입니다. 따라서 직매입 상품은 유통회사의 물건으로 상품 관리 및 재고 관리 모두 유통회사에서 한다. 좀더 자세히 보면 직매입에 의한 직영매장은 점포주명의, 납세자 명의, 점포 운영책임이 모두 할인점에 있으나, 특정 매입에 의한 특정매장은 점포주나 납세자 명의는 할인점에 있지만, 점포운영은 임차인이 하는 형태를 취한다. 특정매입매장은 도소매업진흥법에 의한 직영비율(50%) 유지의무로 인하여 파생된 편법적인 매장운영형태인데, 점포주 및 회계처리가 백화점 명의로 되어 직영매장으로 분류되지만 실질적인 운영주체 및 운영실태는 수수료지불매장인 임대을 매장과 거의 차이가 없다. 직영매장은 주로 식료품, 일부 가전제품, PB제품 등의 매장으로 운영되며, 특정매장은 의류, 화장품, 잡화 등의 매장에 많이 사용된다.
임대갑과 임대을은 점포주, 납세자, 점포운영책임 등을 모두 임차인이 지는 점은 동일하나, 임차료를 산정하는 데 있어서 임대갑은 일정액의 임차료를 지급하는 반면, 임대을은 매출액의 일정비율을 수수료로 지급하는 점이 다르다. 판매 대금은 임대갑은 임차인이 직접관리하나, 임대을은 백화점 측에서 관리한다. 판촉사원은 모두 임차인이 직접 관리한다. 임대갑매장과 임대을매장은 매출액과 관계없이 고정임대료를 백화점에 지불하느냐(임대갑), 매출액의 일정비율을 수수료로 지불하느냐(임대을)로 매장운영이 구분된다. 임대갑은 귀금속, 시계, 식당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임대을은 구두, 화장품, 신사정장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테넌트(tenant) 샾은 임차인, 임차, 빌리다, 임차하다 등의 의미를 갖는 테넌트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는데, 국내 유통업계에서 '테넌트' 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삼성 홈플러스에서 간석점 내의 의류 브랜드 매장을 '테넌트 샵'이라고 칭하면서부터다. 테넌트 샵은 단품 편집 매장 시스템이 고착화되어 있던 국내 할인점 업계에서 별도의 패션 브랜드 매장을 구분 짓기 위해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들 매장은 브랜드별로 백화점식의 박스형으로 구성되며 고객 대면 판매를 통해 서비스의 수준을 높이고 있다. 현재는 직매입, 완사입이 아닌 PNB(Private National Brand)나 일반 패션 브랜드 매장과 문화 공간을 통합해 테넌트 샵이라고 칭하고 있다. 할인점들은 대부분 단품, PB 매장의 경우 완사입제로 운영하거나 월정액을 책정, 지불하는 임대 방식으로 운영해 왔으나 테넌트 샵의 경우 후불제 수수료 방식으로 전환해 운영하고 있다. 테넌트 샾은 현재 대부분의 할인점에서 시도하거나 시도를 준비 중에 있으며, 점차 확산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할인점의 임대방식은 위의 네 가지 방식 중 하나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그 중에서도 월등히 직영매장의 비율이 높다. 할인점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직영매장이며, 일부 임대매장과, 일부 특정매장, 그리고 요즘에는 테넌트 샾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임대방식이 생겨나고 있다. 롯데마트 영등포점은 사진관, 미용실(주노헤어), 화원 세탁소, 안경점, 수족관 점포는 임대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아식스, 리복 등의 스포츠 용품매장, 블루페페, CC클럽, 헬로키티 등의 의류매장, 베이커리 등은 협력이라는 형태로, 주로 특정매장의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의류매장을 중심으로 테넌트 샾의 형태로 전환 준비중이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