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원가)회계 업무의 이해
1장 회계의 체계와 관리회계
◆ 관리회계 업무의 이해
관리회계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리회계 업무를 이해해야 한다. 그 이유는 관리회계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회계의 체계
會計(accounting)는 정보 이용자들이 자원배분에 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기업실체의 경제적 활동을 화폐적으로 측정·기록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요약·수집하여 정보 이용자들에게 전달하는 서비스 활동이다. 따라서 회계가 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회계정보 이용자들의 의사결정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회계 정보 이용자들은 각자의 지식과 경험이 상이할 뿐 아니라 당면하고 있는 의사결정문제도 각각 다르기 때문에 모든 정보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계는 정보이용자의 유형과 이들이 요구하는 정보의 유형에 따라 크게 재무회계와 관리회계로 구분되어 발전해 왔다.
財務會計(Financial Accounting)는 경제적 실체의 외부의사결정자에게 기업의 재무상태, 경영성과, 재무상태의 변동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분야이며, 管理會計(Managerial Accounting)는 경제적 실체의 내부의사결정자에게 관리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분야이다.
재무회계의 목적은 회계보고서(Accounting Report)를 통해서 주주, 채권자, 정부, 일반대중 등 기업외부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그런데 외부정보이용자 각자의 정보이용목적을 일일이 확인하여 그들이 필요로 하는 회계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므로 기업은 편의상 이들에게 일반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一般目的財務諸表(General Purpose Financial Statements)를 작성하여 제공한다. 즉 기업에서는 공공회계기관이나 증권감독원과 같은 규제기관이 제정한 회계기준에 따라 일반목적재무제표(예 :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를 작성하여 기업외부의 정보이용자에게 공시한다.
관리회계의 목적은 특수목적의 재무제표나 보고서를 통해서 경영자 등 기업내부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내부정보이용자의 경우에는 회계보고서 작성자가 정보이용자와의 직접적인 의견교환을 통하여 구체적인 정보 이용목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정보를 적절한 형태의 보고서로 작성하여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회계보고서를 작성할 때 회계기준 등을 따라 작성할 필요가 없다.
◆ 관리회계의 정의
경영자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하여 적절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류하고, 처리, 분석하여 경영자에게 보고하는 회계행위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의 주요한 차이점을 보면 아래와 같다
- 관리회계와 기업회계와의 비교
구분 |
관리회계 | 재무회계 |
기준 |
관리회계의 정보는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맞추어 탄력있게 설계 및 운영 |
기업회계의 정보는 외부환경에 의해 정형화된 형식에 의해 주로 금액으로 표시 |
정보의 종류 |
재무회계정보 + 발생 가능성있는 경제적사건에 대한 추정이나 예측에 의한 정보 + 금액으로 표시되지 않는 여러 가지 양적정보 ※정보의정확도 : 적시성우선 |
이미 발생한 거래에 대한 수익과 비용을 역사적원가에 의해서 측정 ※정보의정확도 : 정확성우선 |
관심대상 |
· 조직단위 · 제품 · 시장 등에 의해 구분된 각부문 중시 |
기업 전체 |
목적 |
경영자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의 제공 |
정보이용자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의 제공 |
보고 |
내부보고 |
외부보고 |
이용자 |
내부이용자(경영자) |
외부이용자(투자자와채권자) |
정보유형 |
과거정보 및 미래정보 |
과거정보 |
준거기준 |
경제학·의사결정과학·행동 과학의 원리에 준거 |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 (기업회계기준) |
댓글을 달아 주세요